
11.12 지구행동의 날 COP27 Coalition 연대 성명문
<'선진국'들의 식민 지배를 답습하는 대한민국, 생태학살 수출을 멈춰라: COP27을 맞아 기후채무국의 역사적 책임을 마주하며>
지구 전역에 기후재난이 물밀듯이 닥쳐오고 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일어난 폭우 참사는 우리에게 여전히 생생한 기억으로 남아있다. 비슷한 시기에 파키스탄에서는 홍수로 국토의 3분의 1이 잠겼다. 나이지리아에서도 홍수로 최소 600명 이상이 사망했다. 수 많은 기후재난이 닥쳤던 올해에 열리는 제27차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이하 COP27)에서는 ‘손실과 보상(loss and damage)’이라는 주제로 각국의 정상들이 모여 기후위기 대응책을 논의한다. 특히 올해는 기후위기에 취약한 남반구 국가들에 대해 한국을 비롯한 부유한 북반구 국가들의 역사적 책임을 묻는다.
기후정의를 외치는 아프리카와 아랍의 시민사회 단체들이 모인 ‘COP27 Coalition’은 11월 12일을 지구행동의 날(Global Day of Action)으로 정하고, 전 세계 시민사회에 기후정의를 위한 목소리를 함께 외칠 것을 요청했다. 역사적으로 남반구는 북반구에 의해 식민 지배를 겪어왔다. 18세기 산업혁명을 이룬 유럽은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까지 진출해 경제성장을 위한 자원을 약탈하여 확보했고, 생태학살과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문명을 전 대륙에 확산시켰다. 그 결과, 지난 2~300년 동안 지구의 평균 기온은 1.2도가 오르고 말았다. 지구가 나날이 뜨거워지면서 기후재난은 더욱 거세지고, 빈번해지고 있다. 북반구와 남반구 간의 지구적인 불평등 또한 극심해지고 있다. 남반구 국가들이 호소하는 기후붕괴의 위협과 불평등은 북반구 국가들의 식민지배와 생태학살이 초래한 결과인 것이다.
한국은 서구 '선진국'들의 경제개발-식민주의를 동경하며 이를 빠른 속도로 추격해 왔다. 그 결과, 2021년 GDP 10위에 이르는 등 부유한 공업국가가 되었다. 한국은 외세에 시달리고 지배당하는 고통을 알면서도, 미국의 베트남 전쟁에 30만 명의 한국군을 파병해 외화벌이를 이룬 역사는 공업화를 위한 값진 희생이었다며 자랑스럽게 기념한다. 한국은 역사적으로도 기후위기에 책임이 큰 기후채무국이라는 국제적 지위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이 분명하다. 나아가, 대한민국에게 2020년은 기후채무국으로서 상징적인 해다. 국내에서는 그린뉴딜 정책과 탄소중립 목표가 발표되었으나, 같은 해에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 석탄발전소를 수출했다. 이는 경제성장을 명분 삼아 생태학살을 수출하는 경제개발-식민주의 국가의 전형이다.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아시아 각지에 석탄발전소를 건설하여 지역 주민들의 삶과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COP27 Coalition’이 선포한 지구행동의 날을 맞아 청년기후긴급행동은 대한민국이 기후채무국의 지위를 인정하고, 기후위기를 가속화하는 국내외 생태학살 사업들을 철회하기를 촉구하는 바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에서도 ‘선진국’의 역사적 책임을 인정하고, 새로운 국제 연대를 모색하는 기후정의 운동이 더욱 활발해져야 한다. 이는 924 기후정의행진의 흐름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 대한민국은 남반구와 북반구를 가로지르는 회복적 기후정의의 주체가 될 수 있고, 되어야만 한다. 청년기후긴급행동은 기후정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남반구 시민사회들과의 연대가 이 땅에서도 더욱 샘솟아나기를 소망한다.
2022. 11. 12.
청년기후긴급행동
11.12 지구행동의 날 COP27 Coalition 연대 성명문
<'선진국'들의 식민 지배를 답습하는 대한민국, 생태학살 수출을 멈춰라: COP27을 맞아 기후채무국의 역사적 책임을 마주하며>
지구 전역에 기후재난이 물밀듯이 닥쳐오고 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일어난 폭우 참사는 우리에게 여전히 생생한 기억으로 남아있다. 비슷한 시기에 파키스탄에서는 홍수로 국토의 3분의 1이 잠겼다. 나이지리아에서도 홍수로 최소 600명 이상이 사망했다. 수 많은 기후재난이 닥쳤던 올해에 열리는 제27차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이하 COP27)에서는 ‘손실과 보상(loss and damage)’이라는 주제로 각국의 정상들이 모여 기후위기 대응책을 논의한다. 특히 올해는 기후위기에 취약한 남반구 국가들에 대해 한국을 비롯한 부유한 북반구 국가들의 역사적 책임을 묻는다.
기후정의를 외치는 아프리카와 아랍의 시민사회 단체들이 모인 ‘COP27 Coalition’은 11월 12일을 지구행동의 날(Global Day of Action)으로 정하고, 전 세계 시민사회에 기후정의를 위한 목소리를 함께 외칠 것을 요청했다. 역사적으로 남반구는 북반구에 의해 식민 지배를 겪어왔다. 18세기 산업혁명을 이룬 유럽은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까지 진출해 경제성장을 위한 자원을 약탈하여 확보했고, 생태학살과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문명을 전 대륙에 확산시켰다. 그 결과, 지난 2~300년 동안 지구의 평균 기온은 1.2도가 오르고 말았다. 지구가 나날이 뜨거워지면서 기후재난은 더욱 거세지고, 빈번해지고 있다. 북반구와 남반구 간의 지구적인 불평등 또한 극심해지고 있다. 남반구 국가들이 호소하는 기후붕괴의 위협과 불평등은 북반구 국가들의 식민지배와 생태학살이 초래한 결과인 것이다.
한국은 서구 '선진국'들의 경제개발-식민주의를 동경하며 이를 빠른 속도로 추격해 왔다. 그 결과, 2021년 GDP 10위에 이르는 등 부유한 공업국가가 되었다. 한국은 외세에 시달리고 지배당하는 고통을 알면서도, 미국의 베트남 전쟁에 30만 명의 한국군을 파병해 외화벌이를 이룬 역사는 공업화를 위한 값진 희생이었다며 자랑스럽게 기념한다. 한국은 역사적으로도 기후위기에 책임이 큰 기후채무국이라는 국제적 지위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이 분명하다. 나아가, 대한민국에게 2020년은 기후채무국으로서 상징적인 해다. 국내에서는 그린뉴딜 정책과 탄소중립 목표가 발표되었으나, 같은 해에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 석탄발전소를 수출했다. 이는 경제성장을 명분 삼아 생태학살을 수출하는 경제개발-식민주의 국가의 전형이다.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아시아 각지에 석탄발전소를 건설하여 지역 주민들의 삶과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COP27 Coalition’이 선포한 지구행동의 날을 맞아 청년기후긴급행동은 대한민국이 기후채무국의 지위를 인정하고, 기후위기를 가속화하는 국내외 생태학살 사업들을 철회하기를 촉구하는 바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에서도 ‘선진국’의 역사적 책임을 인정하고, 새로운 국제 연대를 모색하는 기후정의 운동이 더욱 활발해져야 한다. 이는 924 기후정의행진의 흐름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 대한민국은 남반구와 북반구를 가로지르는 회복적 기후정의의 주체가 될 수 있고, 되어야만 한다. 청년기후긴급행동은 기후정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남반구 시민사회들과의 연대가 이 땅에서도 더욱 샘솟아나기를 소망한다.
2022. 11. 12.
청년기후긴급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