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위원회

프로필 이미지
길핀풀
9시간전
조회 9

회의: 청년기후긴급행동 제66차 운영위원회 회의

일시: 2023. 9. 26. (화요일) 19:30

참석: 은빈, 핀풀, 민선, 하은, 시봉, 상준

작성: 핀풀


보고 안건

1. 은빈 대표 대외관계 및 활동 공유  

10월에는 한국외대 인권주간 토론회, 11월에는 경희대 학생소수자인권위원회 잔디밭세미나에 참여합니다. 11/1(수) 잔디밭세미나는 시민들에게도 열린 자리라고 하니, 멤버 분들도 함께 시간 보내면 좋겠습니다. 


2. 하은 ‘대지에 입맞춤을’ 상영회

9월 25일 월요일 저녁 7시반 공간 호미에서 ‘대지에 입맞춤을’ 상영회를 진행했습니다. 호호 해 파슬리 은빈 유중 하은 시봉 물결이 참여했습니다. 다큐를 보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땅에 대해서도 새롭게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앞으로 생존팀, 생태공화국에서 해방의 땅을 상상하고 구체적으로 긴급행동의 물적 토대 구축에 대해서도 고민해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3. 핀풀 이주 노동자 불법 숙소 폐지 2차 전략회의 

 이주 노동자 불법 숙소 폐지를 위한 2차 전략회의에 대한 보고를 서면으로 진행했습니다. 7개의 불법 기숙사를 고발한 상태입니다. 포천 이주 노동자 센터 측에서 소통이 느린 것을 이유로 연대를 파기하고 긴급행동 단독으로 진행하는게 좋겠다는 메세지를 받았습니다. 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고, 앞으로 긴급행동의 연대 방향과 일련의 과정에 대한 공론화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주 토요일 8월 30일에 포천 이주 노동자 밥상 코이노니아에 참여하기로 했고, 많은 참여 바랍니다. 


4. 은빈 휴면회원 전환 대상자 최종 연락 

멤버십 미갱신 멤버들을 대상으로 추가 소통을 진행했습니다. 활동멤버들의 전체방이 곧 재편됩니다. 현재 56명이 있으나 약 40명으로 꾸려질 예정입니다. 


논의 안건 

1. 민선 [논의] 10월 새멤버맞이 

10월 새멤버맞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새멤버맞이를 통해서 들어온 멤버들은 정회원과 준회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해서 다음 회의에서 더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존 준회원들이 멤버쉽 전환 기간 이외에 정회원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대한 논의를 다음 회의 때 추가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또 새멤버맞이 진행을 기존에는 운영위에서 맡아서 했는데, 유관 의제그룹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서 논의를 진행했고, 새로운 방식의 소통 및 시민 만나기 의제그룹에 제안하기로 했습니다. 회원 가입 안내와 새멤버맞이 홍보를 SNS를 통해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2. 민선 [논의] 의제그룹 진행 상황 

의제그룹 진행 현황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텔방을 꾸리고 초동 모임 날짜에 대한 공유를 했습니다. 정회원 모임 준비 회의를 다음주 화요일 8시에 진행하는데, 각 의제그룹에서 한명 씩 참여해서 함께 준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3. 민선 [논의] 아덱스 저항행동 준비 

9월 25일 아덱스 저항행동 설명회에 참석했고, 긴급행동이 어떤 맥락과 방식으로 참여할지 논의 했습니다. 아덱스 저항행동은 항공우주무기박람회로 10월 16일 부터 일주일간 진행됩니다. 긴급행동은 10월 21일 기후데이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서 제안을 받았습니다. 가부장적 군사주의에 맞서는 변혁적 정의를 위한 출발점이 될 것 같습니다. 생태공화국 의제그룹과 새로운 방식의 소통 및 시민 만나기 의제그룹에 기획에 대한 제안을 하기로 했습니다. 


4. 핀풀 [논의] 923 기후정의행진 회고 

923 기후정의행진이 진행됐습니다. 긴급행동의 준비과정과 행진 당일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고, 923 기후정의행진 자체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고 설문조사 폼을 제출했습니다. 923 기후정의행진을 평가하고 이후 투쟁을 함께 그리는 평가회의를 10월 11일 수요일 7시 30분에 진행하려고 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5. 핀풀 [논의] 의제그룹 이름 정하기 

의제그룹 이름에 대한 초안을 정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했지만 시간이 부족하여 다음주 회의를 이월 되었습니다. 


6. 삼척팀 [논의] 삼척 직접행동 2차 후속 전략 회의 

삼척 직접행동 후속 전략에 대한 2차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공동 대응 단위 함께 하는 법률 대응 회의에서 표명할 긴급행동의 입장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재판 투쟁을 넘어서 지속적이고 여러차례의 직접행동과 집회 등 사회적 여론을 형성하고 탈석탄 법 제정을 위한 의회 압박을 진행하자는 의견을 공문으로 전달했습니다. 긴급행동 내부 후속 공론장에 대한 준비를 진행했습니다. 오는 10월 4일 7시에 공론장이 진행되니 함께 모여서 후속 전략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면 좋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길핀풀
2023-09-21
조회 22

회의: 청년기후긴급행동 제00차 운영위원회 회의

일시: 2023. 9. 19. (화요일) 19:30

참석: 은빈, 하은, 민선, 핀풀, 주석, 상준, 난설헌, 시봉

작성: 핀풀, 은빈, 민선

내용:

0. 간단한 회의 분위기

활동을 쉬고 있는 현지가 들어와서 근황 나눔을 했습니다. 주석이 안건 발의를 해서, 회의에 참여 했습니다. 오늘 회의에서 정회원의 운영위 회의 안건 발의에 대한 절차를 정리했는데, 앞으로 활성화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상준, 난설헌, 시봉이 회의에 참석해서 1시간 30분 동안 삼척 직접행동 후속 전략회의를 진행했습니다. 복작복작 즐거운 긴급행동이 된다면 좋겠네요 ㅎ


보고 안건 

1. 민선 마주 앉아 밥상회 후기

 9월 18일 월요일 저녁, [먹거리X동물해방X923기후정의행진] 마주 앉아 밥상회를 진행했어요! 생존팀 멤버들의 고민들을 모아 923기후정의행진을 앞두고 먹거리 운동과 동물해방운동의 연대를 기대하여 만든 자리였는데요. 편안한 공간을 내어주신 당인리 교회 덕분에 포틀럭 파티를 즐기며 공론장을 진행할 수 있었어요. 새벽이생추어리, 동물해방물결, 비건먼지, 한살림 등 다양한 단체에서 함께해주셔서 다양하고도 깊이 있는 논의 지점들을 꺼내주셨고, 소그룹 토의까지 치열하게 진행되었습니다. 후속으로 생존팀에서 성명서를 작성하여 공개할 예정이에요. 더 자세한 내용은 물결님의 후기에서 확인해주세요!

물결님 후기:  https://ycea.kr/journal/?bmode=view&idx=16389087


 논의안건 

1. 은빈 [논의] ‘기록’ 게시판 운영안 

8월부터 긴급행동 홈페이지에 ‘기록’ 게시판을 운영하고 있지요. 게시판 카테고리를 [활동후기], [자율기고], [기획연재] 세 개로 나누어서 운영하기로 했어요. 활동후기는 긴급행동 공식 일정별로 2명의 멤버가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로 했어요. 자율기고는 활동멤버 누구나 월 1회 홈페이지에 글을 기고할 수 있도록 했어요. 기획연재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멤버 뿐만 아니라 외부 필진을 섭외해서 연재를 기획할 수 있도록 마련해 두었어요. ’기록‘ 게시판에 모두 많관부! 


2. 은빈 [논의] 전쟁없는세상 연대 요청 검토 

CICC를 계기로 긴급행동과 인연을 맺게 된 전쟁없는세상에서 작년에 이어 올 하반기에도 ADEX 무기거래 산업 저항행동을 준비하신다고 해요. 전쟁없는세상은 작년 무기거래 저항행동 건으로 1700만원 벌금이 구형되어 재판을 치르게 되었답니다. 긴급행동은 10/21 ADEX 무기박람회 저항행동에 함께 하기로 했어요. 우리 함께 군사주의를 뿌시는 김공룡과 친구들이 되어보아요 🦕🔥 


3. 은빈 [논의] 10/9 공론장 <경계인으로 살아가기 2> 

<경계인으로 살아가기> 공론장 기억나시나요~? 평화디딤돌(성준님의 활동명) 통일 강의를 기회로 긴급행동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전쟁과 분단, 남북관계, 평화에 대한 이야기를 공론장에서 나눌 수 있었습니다. 한 번으로는 아쉬웠던지라 한 번 더 공론장을 갖기로 했는데요, 날짜가 10월 9일(월) 저녁으로 잡혔답니다. <청년기후긴급행동에서 분단 문제 고민하기> 주제를 ‘생태공화국 구상과 선언’ 의제그룹에서 평화디딤돌과 함께 추진하기로 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려요! 


4. 핀풀 [논의] 정회원 운영위 회의 안건 발의 및 정회원 모임 준비 

정회원 운영위 회의 안건 발의에 대한 논의와 정회원 모임 준비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홈페이지에 안건 발의란을 만들어서, 의제그룹에서 논의된 사업 기획과, 실행, 예산 집행 등에 필요한 논의들을 발의하고, 매주 금요일 안건 상정 회의에서 검토를 거친 후 운영위 회의에서 다루려고 합니다. 의제와 무관하게 단체 운영과 관련된 내용도 의제그룹에서 한번 숙의를 거친 후 의제그룹을 통해서 발의가 가능한 체계를 만들고자 합니다. 

정회원 모임의 준비는 매월 첫번째주 화요일 운영위 회의 1시간을 활용하여, 안건을 정하고, 논의 내용, 시간, 방식등을 정하려고 합니다. 의제그룹 대표나 의제그룹원 중에서 한명씩 참여해서 준비 회의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운영위원회 안건 상정과 정회원 모임에 많이 참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 핀풀 [논의] 923 최종 점검

923 기후정의행진이 이번주 토요일로 다가왔습니다. 금요일에 진행하는 준비모임에 많은 참석 바라고, 함께 만들어가면 좋겠습니다. 


6. 삼척팀 [논의] 삼척 직접행동 이후 전략회의

삼척 직접행동 후속 대응 초벌 전략회의를 진행했습니다. 삼척팀에서 참석해서 함께 논의 했습니다. 삼척 석탄화력발전소는 시급한 사안이고 재판 투쟁을 넘어서 백지화 운동을 만들어나가기 위한 다른 전략을 모색하자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습니다. 식민주의와 생태공화국 담론을 형성하고, 지속적인 직접행동과 탈석탄법 제정 관련 진행 사항 파악,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백지화를 위한 국민 투표까지 고려하자는 의견들이 오갔습니다. 긴급행동의 조직적인 전략을 공동 주최 단위들에게 논의를 시작하기 전에 전달하기 위해서 공문을 작성하려고 하는데 시간이 촉박하여, 전체방을 통해서 멤버들에게 의견을 받고 보내고자 합니다. 또 내부 공론장을 10월 4일 수요일에 열어서 전략에 대한 숙의를 거치고, 정회원 모임에서 전략에 대해서 의결하고자 합니다. 


7. 은빈 [논의] 뿌리모임 구성 확정

아기다리고기다리던 뿌리모임 구성이 드디어 완료되었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이번 뿌리모임은 활동멤버 전원이 참여하도록 편성했어요. 3-4인 규모로 총 11개의 뿌리모임이 만들어졌답니다. 각 뿌리모임에는 최소 월 1회 모이자는 규칙이 있구요, 뿌리모임 활동 후기는 반드시! 뿌리모임 게시판에 올려주세요! 9월이 지나기 전에 공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커밍순~ 


8. 주석 [논의] 생태공화국에서 아픈 몸들이 정치하는 법

10월 1일이나, 2일 중에 <생태공확국에서 아픈들이 정치하는 법>이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주석이 쉬기 전에 제안해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인데요. 긴급행동이 언어 이외의 활동을 전개하기로 총회에서 의결하고, 전개해왔는데, 이러한 방식이 어떠한 정치성을 발굴할 수 있을지 몸과 마음으로 느끼고 모색하는 시간을 갖는다고 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비상행동 안건

 1. 은빈 [보고] 추후 주요 일정 공유

비상행동에서는 9/22 서울 대화마당이 열립니다. 아마도 마지막 대화마당일 될 듯해요. 쉽지 않았지만 7월부터 열린 전국 활동가 대화마당을 마무리하는 자리인만큼, 은빈이 참여해서 잘 듣고 잘 관계 맺고 올 예정입니다. 11월에는 대전에서 전국의 기후위기비상행동 소속 단체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2박 3일 워크숍이 예정되어있어요. 이것 관련한 소식은 곧 다시 전할게요. 그리고 10월11일 기후위기비상행동 운영위원회 회의에서는 ‘조직 내 젠더정의’를 주제로 집담회가 열릴 예정입니다. 


2. 은빈 [보고] 9/14 비상행동 농축채먹팀 밥상회 

최근 활약하고 있는 긴급행동의 생존팀! 생존팀 멤버들이 머리를 맞대게 된 초창기 계기가 기후위기비상행동 농먹채공 분과의 결성이었지요. 비상행동 농먹채공팀에는 긴급행동 뿐만 아니라 벗밭, ICE, 한살림, 한살림생산자연합회, 동물권단체 KARA 등 단체들이 함께하고 있어요. 10월 경에는 농업, 먹거리, 채식, 공장식축산 관련 의제들을 토론하고 행동 전략을 수립하는 워크숍을 진행하기로 했는데요, 관심 있으신 분들은 ‘민선’에게 말씀해 주세요!


프로필 이미지
길핀풀
2023-09-15
조회 31

회의: 청년기후긴급행동 제64차 운영위원회 회의

일시: 2023. 9. 13. (수요일) 19:30

참석: 은빈, 핀풀, 민선

작성: 핀풀

내용:

0. 간단한 분위기 

삼척 직접행동을 하고 돌아온 날 저녁에 운영위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하은은 회의 날짜가 옮겨지는 바람에 알바를 가느라 회의 참석을 못했습니다. 굵직한 안건들을 처리하느라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보고 안건

1. 은빈 [보고] 대표 대외관계 및 활동 공유 

은빈은 전태일의료센터 건립 대표추진위원으로 위촉되었어요. 노동과 생명을 존중하는 의료기관이라는 가치 아래 기금 마련이 필요한 상황에서 조금이나마 힘을 보태기 위해 합류했습니다. 특히, 위촉 제안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산업재해 이주노동자 의료 지원 등의 사업들이 특히 눈에 들어왔다고 합니다. 출범식은 9월 20일 10-13시 명동에서 열려요. 공공의료 등 관심있는 멤버가 있다면 출범식에 동행해요! 은빈에게 연락해 주세요. https://jeontaeilhospital.modoo.at/?link=11647yyi   


2. 민선 [보고] 생존팀 공론장 기획 및 923 참여 논의 

가칭 ‘농축채먹’팀이 여러 차례의 회의 끝에 ‘생존’팀으로 이름을 정했습니다. '생태적 존재'의 줄임말인 동시에, 착취와 폭력 죽음이 가득한 이 사회에서 생존을 고민한다는 의미를 담아보았어요. 923 기후정의행진을 앞두고 멤버들이 치열하게 먹거리 운동과 동물해방 운동의 연대에 대한 고민하며 9월 18일 (월) 저녁에 ‘마주 앉아 밥상회’를 엽니다. 자리가 많지 않아 개별 초대하여 소수를 진행되는데요. 이 자리에서 나온 이야기를 모아 성명서를 작성할 예정이니 잘 공유하겠습니다! 더불어, 923 기후정의행진 전날에 사전 부스에서 판매할 씨앗폭탄을 만들 예정이니 함께 준비하러 오세요~ 


 3. 핀풀 [보고] 이주 노동자 불법 숙소 전략회의 보고 

이주 노동자 불법 숙소 폐지를 위한 전략회의를 9월 7일에 진행했습니다. 난설헌, 은빈, 핀풀이 참여하였고, 고발문 작성과 성명문 작성, 기자회견에 대한 전략에 대해서 논의 했습니다. 길고 긴 싸움이 될 것 같고, 진심을 다해 폐지 운동을 해나가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논의 안건

1. 은빈 [논의] 9/12 삼척 직접행동 회고

9/12 삼척 직접행동에 대한 운영위원회 회고를 진행했습니다. 당일 밤에는 멤버들의 정동을 살피는 마음나눔을 했고, 운영위원회 회의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조직적인 맥락에서 검토했습니다. 삼척 직접행동에 참여했던 멤버 전원이 제65차 운영위원회 회의에 들어와서 10월 전체모임 전 후속대응과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공론장을 준비하기로 했어요. 삼척 직접행동에 참여한 이들을 지지하는 마음을 넘어, 정치적 주체로서 함께 기후운동을 만들어 나가 보아요. 


2. 민선 [논의] 9월 전체모임 회고

4기 운영위원회 출범 후 변경한 운영체계에 따라 9월 9일 토요일에 처음으로 정회원 모임 & 전체모임이 진행되었어요. 정회원 모임과 전체모임을 구분하여 진행한 첫 회의였던 만큼 운영위원회에서도 아쉬운 지점들이 많았는데요. 좋았던 점과 아쉬운 점을 곰곰히 회고하고, 더 나은 회의 방식을 만들어가기 위해 의견을 모았습니다. 회의에 참여하신 멤버분들의 의견도 공유해주시면 적극적으로 귀담아 듣고, 반영하겠습니다!


3. 은빈 [논의] 9월 전체모임 후속 실무

9월 전체모임 논의 및 의결사항을 정리하고, 후속 실무를 진행했어요. 쉽지만은 않은 청년기후긴급행동의 체제 전환! 더 함께, 더 깊이, 더 멀리 나아가기 위한 재정비 작업이라고 생각해요. 곧 뿌리모임과 의제그룹(둥지)에서 인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4. 핀풀 [논의] 923 기후정의행진에 대한 논의

 923 기후정의행진이 일주일 남았습니다. 멤버 조직과 김공룡 행진단, 생태공화국 부스, 행진 대오, 선언문 등에 대해서 논의했습니다. 남은 일주일간 뜨겁게 불태우면 좋겠습니다. 923 기후정의행진에 청년기후긴급행동의 이야기가 울려퍼지면 좋겠습니다. 활동 멤버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5. 은빈 [논의] 9/25 <대지에 입맞춤을> 상영회

하반기 들어서 최근 긴급행동 내 농/축산업, 동물, 대지에 대한 담론이 피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외국 토지운동 사례와 다큐멘터리를 참고하며 긴급행동이 어떻게 생태적 존재로서 사회운동을 접근하면 좋을지에 대해 멤버들과 이야기 나누는 자리가 필요하겠다는 은빈의 제안으로 9/25(월) 영화 <대지에 입맞춤을> 소규모 상영회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의제그룹(둥지) ’생태적 존재‘와도 긴밀히 연결되어 이야기가 이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상영회 후기 및 나눔내용은 전체방을 통해 공유드리도록 할게요.  


6. 은빈 [논의] 11월 밥상회 추진 

한살림&벗밭과 함께 3월부터 격월마다 열리는 밥상회, 11월에도 진행됩니다! 11월 3일 금요일 저녁, 비건을 주제로 관련 활동과 평소 지니고 있던 고민과 문제의식을 나누는 시간으로 기획하고자 합니다. 그간 <은빈>과 <주석>을 중심으로 기획단이 운영되었는데요, 앞으로는 <하은>과 <민선>을 비롯한 ‘새로운 소통 방식’ 의제그룹(둥지)에 연결되어 진행될 예정입니다. 혹시 멤버 분들 중에 11월 밥상회 관심 있는 분들이 계시다면 적극적으로 <하은>, <민선>에게 말씀해 주세요.

프로필 이미지
길핀풀
2023-09-07
조회 11


회의: 청년기후긴급행동 제63차 운영위원회 회의

일시: 2023. 9. 5. (화요일) 19:30

참석: 현지, 하은, 은빈, 민선, 핀풀

작성: 핀풀

내용:

0. 간단한 분위기🌟

현지님이 한달간 쉼을 가지면서 체크인을 하시고 나가셨습니다. 회의는 중요한 논의들이 많아서 자정이 넘어서 끝났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보고 안건>

1. 은빈 [보고] 대표 대외관계 및 활동 공유

은빈의 9월 중순 섭외 일정을 공유했습니다. 9/14 한베평화재단 강의는 청년기후긴급행동 SNS에도 홍보하기로 했습니다.

  1. 9/10 송파 낮은자리교회 하늘뜻펴기(설교) 마태복음 18:1-14
  2. 9/14 한베평화재단 평화아카데미 <지구해방을 상상하는 기후운동: 붕앙-2 석탄발전소 수출 반대 투쟁기> 강의 및 붕앙-2 다큐멘터리 상영회


2. 핀풀 [보고] 삼척 사전 줌 회의

삼척 직접행동 줌 회의가 진행됐습니다. 레드라인으로는 하은, 시봉, 핀풀이 참여하고 옐로라인으로 은빈, 그린라인으로 설헌님과 상준님이 힘써주시기로 했습니다. 삼척 직접행동은 8월 12일에 진행되고 준비 실무를 하는 분들은 11일에 미리 삼척으로 이동하기로 했습니다. 기자회견 참석하시는 분들까지 신청을 받아서, 함께 가고자 합니다. 조직적인 의미 부여와 메세지 발굴 등의 작업에 함께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핀풀 [보고] 포천 이주 노동자 불법숙소 답사 및 김달성 목사님 만남

 📝 포천 이주 노동자 불법 숙소 답사를 다녀왔습니다. 답사 후기는 전체방에 올라와 있으니 읽어보시고 앞으로 있는 일정들에도 관심 갖고 참여해주시면 좋겠습니다.

현장답사: https://ycea.notion.site/20230904-4172f44f1d94414db56af397dcbf36b3?pvs=4

김달성 목사님과 회의: https://ycea.notion.site/20230904-76224cc53d1240259f0054057208d6ce?pvs=4


4. 하은 [보고] 9/4 밥상회

9월 밥상회는 ‘재난‘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10명의 소수 인원이 모였고 기후재난을 마주하며 단체나 개인적으로 한 활동, 들었던 감정, 나누고 싶은 고민점과 함께 힘을 모으기 위해 어떤 것들이 필요할지 이야기 나눠보았습니다. 이번 식탁에는 한살림 비건들깨감자옹심이와 부추전, 벗밭의 향긋한 무화과잎차, 호호님이 밭에서 직접 따오신 허브차가 올라왔습니다. 폭우피해 관련해서 농사에 대한 고민을 직접적으로 갖고 계시거나, 폭우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일손돕기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셨던 경험이 있으신분들도 오셔서 다양한 현장의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5. 은빈 [보고] 923 부스 기획회의 보고

9/23(금) 12:00-13:40 열리는 행진 사전부스 시간에 우리도 부스 1동을 꾸리게 되었습니다. 🎉  생태학살 정부와 폭력/억압/착취를 재생산하는 사회 체제를 거부하는 모든 난민들을 환대하는 생태공화국 입국 신청 부스를 차리기로 했어요. 청년기후긴급행동의 비전 ‘자기해방과 지구해방을 연결시키는 정치공동체’를 거리에서 구현해보려 합니다. 4/22 지구해방의날 선언문, CICC와 재판, 농축채먹팀의 씨앗폭탄 등을 아이디어 삼아 부스 프로그램을 준비하려고 하는데요, 관심 있는 분은 희원님에게 연락해 주세요!


논의 안건

1. 민선 [논의] 9월 정회원 모임 및 전체모임 준비

이번 주 9/9(토) 변경된 운영체계를 처음 반영한 정회원 모임 & 전체모임이 진행됩니다. 정회원들이 정치적 주체로서 긴급행동에서 의제를 발굴하고 운동 전략을 고민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의제 그룹을 구성하고 있는데요. 1부 [정회원 모임]에서는 정회원분들과 함께 의제그룹을 통해 나의 해방이 생태공화국까지 이어지는 상상을 해보고자 합니다. 2부 [준회원 모임]에서는 준회원들의 긴급행동 내 관계망 형성을 위해 뿌리모임 가이드를 제안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다가오는 923 기후정의행진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 및 논의도 진행됩니다. 4기 운영위 출범 이후 조직적으로 중요한 시기를 지나고 있는데요. 많은 활동멤버분들이 시간 내어 참여해주시길 요청드립니다! 


2. 민선 [논의] 농축채먹팀 공개 공론장 기획

8월에 처음 꾸려진 농축채먹(팀)에서 923 기후정의행진을 타겟으로 9월 18일 월요일 저녁에 밥상회 형태의 공개 공론장을 엽니다! 일상적인 밥상을 낯설게 봄으로써 폭력적인 먹거리 시스템 속에서 착취 당하는 대지와 바다, 그리고 비인간동물을 마주하기 위한 자리로 기획했습니다. 먹거리 의제와 동물해방 의제를 적극적으로 연결 지음으로써, 이것이 생태적 존재 되기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조만간 홍보 포스터와 신청폼을 공유할 예정이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3. 핀풀 [논의] 뿌리모임, 의제그룹 인원 구성 확정

의제그룹과 뿌리모임 구성과 진행 방식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기존에 있는 팀들을 의제그룹으로 이전하고 사업별로 의제그룹에 속하지 않은 활동멤버들도 참여 가능하게 하려고 합니다. 의제그룹 활동계획을 제출하고 예산 지원에 대해서도 의결을 거쳤습니다. 의제그룹 확정은 전체모임 전까지 멤버들에게 개별 연락해서 진행하려고 합니다. 뿌리모임은 지역과 생애주기에 따라서 분류하고 관계성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4. 은빈 [논의] 한베평화재단 위령비 조화 연대요청

베트남전 한국군 민간인 학살의 피해자들이 지내는 위령제에 조화를 보내기로 결정했습니다. 은빈님이 붕앙-2 직접행동을 기점으로 한국이 베트남에게 가했던 과거의 폭력과 이에 대한 성찰로 꾸준하게 한베평화제단 통해서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는데요. 앞으로 조화를 보내는 것과 함께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와 식민주의에 대한 내부 공론장 등을 열어가기로 결정했습니다. 


5. 은빈 [논의] 의제그룹 및 뿌리모임 관계성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의제그룹과 뿌리모임의 내부 관계성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해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활동멤버간 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홈페이지를 활용하고, 뿌리모임 의제그룹 내부 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사람책 등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체모임에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6. 핀풀 [논의] 923 작당모임 평가 및 관련 공유 사항

작당모임 평가는 진행하지 못했고, 923 관련해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긴급행동은 삼척 직접행동, 이주 노동자 불법 숙소, 동물해방-먹거리, 생태공화국 부스 등으로 923에 참여하고자 합니다. 단체마다 추진위원 가입을 독력하고 있는데 많이들 참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체모임에서 참가자 선언을 작성하기로 해서 에스엔에스에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차량 사회자 관련해서 멤버들에게 제안을 하기로 했습니다. 923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위기를 넘는 우리의 힘을 확인하고 함께 만들어가면 좋겠습니다! 추진위원가입: https://bit.ly/923추진위원


비상행동 안건 

1. 핀풀 [보고] 뻐꾸기 단위에 대한 뻐꾸기 논의 보고

뻐꾸기 단위를 4기 운영체계에 맞춰서 어떻게 가져갈지 지난 회차 회의와 뻐꾸기 3차 회의를 통해서 논의했고 의결을 거쳤습니다. 비상행동에서의 정치운동을 만들어나갈 때 전략을 세우고 초벌 논의를 하는 그룹인 뻐꾸기는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9월 13일에 뻐꾸기 공론장을 열어서 지금까지 비상행동 활동에 대한 평가와 뻐꾸기 단위 재편을 하고자 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2. 은빈 [보고] 11월 활동가대회 TF

뻐꾸기 봇을 통해서 보고 한다고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류하은
2023-09-06
조회 12

회의: 청년기후긴급행동 제62차 운영위원회 회의

일시: 2023. 8. 29. (화) 19:30

참석: 핀풀, 은빈, 하은(7:30~체크인까지 참여), 민선(10:30~), 현지(10:30에 시작한 체크인만 참여)

작성: 하은

내용:


 <보고 안건>

1. 대표 대외관계 및 활동 공유 (은빈) 

- 8/24 정의당 생태여성주의 간담회

- 8/30 14:00 서울여대 학보 인터뷰

- 2024년 9월 기독교 로잔대회 (논의)

- 9/7 14:00 이대서울병원 보건의료노조 기후정의 강의 예정


2. 8/26 8월 새멤버맞이 (민선, 은빈)

- 일시: 8/26(토) 10:00~11:30

- 진행: 은빈, 민선

- 참여멤버: 이상준


새멤버맞이 초대드리는 연락이 늦었고, 당일 노쇼가 두 분이 계셔서 이상준님 한 분이 참여하셨고, 상준님은 정식적으로 준회원이 되셨습니다.

 

3. 8/28 살림단 소통(은빈)

 

4기가 출범하고 나경님 임기가 종료되는 상황에서 어린님만 남았습니다. 살림단 현황 파악과 4기와의 팀워크 형성 필요한 상황이라 8/28(월) 은빈&어린 통화로 전반적인 소통을 진행했습니다.

8/28(월) 어린-은빈 소통사항을 고려하여, 모꼬지 9/3(일) 오후세션 어린님 온라인 합류, 매주 주간점검 어린님 합류, 9/8(금) 운연위원 출근조와 살림단(나경님, 어린님) 인수인계 미팅을 진행하기로 의결하였습니다.

 

4. 삼척 직접행동 현장답사 (핀풀)

 

8월 26일에 은빈, 핀풀이 삼척에 답사 다녀왔습니다. 재각(동맹), 인철(녹색연합), 승옥(60+)와 함께 방문했고, 태성님과 둘러보았습니다. 직접행동 위치와 타임라인,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했습니다.

삼척 행동 일정은 9월 12일이 될 것 같고, 11일에 준비하러 먼저 가기는 하지만 12일 합류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우선 긴급행동에서는 시봉, 박상준, 하은, 이상준님에게 제안을 한 상황입니다. 추후 내부 논의가 필요합니다.

 

5. 김공룡 야학 진행 방식 (핀풀)

 

1. 어떤 공부를 할 것인가?

- 삶/운동으로부터 분리 되지 않은 공부, 현실을 바꿀 수 있는 공부를 진행한다

 

2. 나, 우리, 세계로 확장 되는 공부

- 긴급행동의 활동기조 <생태적 존재이자 정치적 주체>

- 아픈 몸 - 긴급행동의 주체(나)

- 젠더정의 - 긴급행동의 관계 및 질서(우리)

- 생태공화국 - 아픈 몸을 발생 시키는 국가 질서의 변혁(세계)

    * 생태/동물

    *여성/퀴어/장애

    *노동/남반구,이주민/불안정 노동

    *정치/국가/법

 

3. 김공룡 야학 진행 방식

- 격주 금요일 밤 정기 모임_공가 제안

- 두달 동안 한 주제를 가지고, 현장 가기, 감각 나누기, 독서, 글쓰기, 발제 및 토론 등을 진행.

- 주제별로 함께 할 멤버 모집+쭉 함께할 멤버 모집

- 주제가 끝날 때마다 , 공론장이나, 성명문 작성 등 외화 시키고 조직의 언어로 축적될 수 있게 하는 활동 진행.


4. 첫번째 주제

- 생태적 존재와 아픈몸(가제)’ 커리큘럼

- 1주차: 해방글방, 아픈몸 글 읽고 나누기

- 2~3주차: ‘아파도 미안하지 않습니다’ 읽고 나누기

- 4주차: 발제 및 토론!


6. 경계인으로 살아가기 (핀풀)

 

- 성준, 핀풀, 은빈이 8월 28일에 공가에서 만나서 식사를 하며 함께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 일시: 10월 9일

- 구성:

- 긴급행동이 분단 평화 문제를 다뤄야 하는 이유: 은빈

- 경계인으로 살아가기 내면의 문제를 중심으로: 성준 강연

- 토론 및 이야기 나누기

 

9월 전체모임 때 공유 후 참석 투표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7. 멤버십 전환 현황 (하은)

 

서면보고로 진행했습니다.

 

<논의안건>

 

1. 9월 정회원 모임 및 전체모임 준비 (민선) ::: 차기회의로 위임

 

2. 4기 모꼬지 준비(핀풀)

 

9/2~3일 포천 섬기는 교회에서 모꼬지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처음으로 4기가 함께 합을 맞춰보는 자리가 될 것 같습니다. 서로의 마음을 나누고, 각자가 하고 싶은 운동과 긴급행동에서 어떤 운동을 해나가야할지 모색하고, 내가 운동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적 기반에 대한 논의, 어린님과 함께 소시오크라시를 통해 긴급행동 운영체계를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도 가질 예정입니다.

 

3. 923 작당모임 (핀풀) 

8월 30일 수요일 19:30, 초록 작당소에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긴급행동은 923 기후정의행진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참여해야 하는가? 라는 주제로  923 기후정의행진의 의미와 한계, 긴급행동의 비전: 새로운 주체를 어떤 방식으로 조직하고 가시화할 수 있을지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주민 노동자 불법 숙소 철폐/ 삼척 블루파워 석탄 운송 저지 직접행동/동물해방-먹거리: 8/28 농축채먹팀 발제 내용을 공유하면서 긴급행동의 의제와 언어를 가지고 주체적으로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갈 수 있을지 다루려고 합니다.

 

<비상행동 안건>

1. 뻐꾸기 단위에 대한 논의 (은빈, 핀풀) ::: 뻐꾸기 단위로 위임하였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9-06
조회 18

회의: 청년기후긴급행동 제61차 운영위원회 회의

일시: 2023. 8. 22. (화) 19:30

참석: 현지, 민선, 핀풀, 은빈, 하은

작성: 은빈

내용:

<보고안건>

1. 대표 대외관계 및 활동 공유 (은빈)

8/19 토론회 이후 김정희원님과의 사과 및 소통 사항을 공유하고, 운영위원들과 마음을 나누었습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공개석상에서 긴급행동 멤버로서의 태도/자세에 대한 약속(내지 가이드라인)을 멤버들과 함께 만들어 나가면 좋겠다는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외부자들이 참여하는 공식 일정에서 멤버들이 함께 주의하고 서로 살펴 줄 필요가 있는 유의 사항들을 함께 고민해보고 명시하면 좋겠다는 의견도 함께 나누었습니다.

개요: 8/19 토론회 후 패널뒤풀이 식사를 마칠 때, 토론자 김정희원님이 뒤풀이 식사비 계산을 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심. 멤버들이 극구 사양하며 만류하자, 은빈은 무조건 거절하지 말고 이유를 들어는 봐야 한다, 만류하지 말고 감사히 받자고 말함. 그 과정에서 김정희원님이 문제의식을 느끼시고 메일로 은빈에게 사과를 요구. 은빈으로부터 사과 메일 회신을 받은 후 김정희원님은 ‘내부의 관계와 팀워크의 혁신적 변화, 조직 운영에 있어서 탈위계적이고 평등한 발언권과 영향력 제고’에 대한 제언과 응원을 보내심.


은빈이 떠올린 긴급행동 멤버 유의사항 예시

1.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낯선 참여자가 소외감 느끼게끔 친분을 강조/과시하는 발언
2. 멤버가 아닌 이가 배제감을 느낄 수 있는 발언
3. 정보 격차 또는 감수성 차이에 따른 위화감을 조성하는 발언
4. 평등주의를 위시하여 과도하게 고학력자, 또는 연장자, 또는 남성, 또는 이성애자, 또는 논비건을 의도적으로 폄하하는 발언 등


이 외에도, 8월 중 들어온 섭외 일정들을 함께 검토했습니다.

  1. 전태일의료센터 공동준비위원장 제안
  2. 정의당 생태여성주의 정치 간담회
  3. 김학성님 사회장 장소지원 ‘채비’ 인터뷰 촬영
  4. 60+기후행동 자문 워크숍 초대


2. 8/21 기후재난 거리모임 (핀풀)

서면 보고로 진행했습니다.

IMG_4252.jpeg

일시: 8/21(월) 18:30

장소: 혜화 마로니에 공원

참여: 시봉, 나라, 은빈, 호호, 현진, 청연, 핀풀, 현빈


3. 반성폭력기구 마중 5차 회의 및 피해자 지원 활동 공유 (하은)

서면 보고로 진행했습니다.

IMG_4956.jpeg


8/19(토) 마중 5차 회의

IMG_4957.jpeg

8/17(목) 피해자 지원활동: 즉흥 몸짓


4. 9월 밥상회 추진 (하은)

올해 3월부터 격월 1회 진행해 온 밥상회 기획단에 하은님이 합류했습니다. 9월 밥상회는 9/4 기후재난과 농촌지역의 피해를 주제로 벗밭, 청년기후긴급행동, 한살림 구성원 내 10명 인원으로 초대해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긴급행동에서는 3명 호호, 하은, 현지(안 되면 민선 또는 은빈)가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5. 페미니스트 기후정의 요구안 (현지)

6월에 참여한 여성환경연대 주최 페미니스트 기후정의 요구안 작성 작업이 회람 및 수정 절차를 거치고있습니다. 긴급행동은 ‘국제사회에서의 책임을 이행하라’ 부문에 할당되어 담당자 현지님의 작성 현황공유와 피드백 요청을 해주셨습니다.


<논의안건>

1. 8/19 성폭력 사건 공개 토론회 후속 (하은, 현지)

대책위에서의 토론회 회고를 공유하고, 후속 이행 사항을 논의했습니다.

1) 9월 중 멤버 대상 토론회 자료집 읽기모임을 열기로 했습니다.

2) 읽기모임 후 성명서 작성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3) 사후 보도자료를 청연님께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2. 홈페이지 ‘기록’ 게시판 운영 가이드라인 (은빈)

지난 회의에서 홈페이지 ’활동 > 기록’ 게시판(www.ycea.kr/journal)을 활성화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한 운영 가이드라인은후기 작성을 멤버들에게 요청드리고 운영해 보면서 차차 잡아가기로 했습니다.


3. 8월 전체모임 회고 및 KPT 점검 (은빈)

8/12에 진행한 8월 전체모임을 회고했습니다. 1) 사전 리허설 점검 2) 시간분배를 여유롭게 책정 3) 안건지 미리 작성 4) 현장 역할 미리 분배 등 향후 전체모임 준비/진행 유의사항을 함께 점검했습니다. 현재 4기의 느슨한 결합도 및 소통-결정체계 또한 개선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4. 9/9 정회원 모임 준비 (핀풀)

멤버십 전환기간 후 처음 열리게 될 9/9 정회원모임을 함께 준비했습니다. 차기 회의에서도 준비 안건을 다루기로 했습니다.


5. 4기 모꼬지 구성 및 내용 (핀풀)

4기 운영위원회의 팀워크를 제고하고 당면 과업들에 대해 깊이 토의하기 위해 모꼬지를 9/2(토)-9/3(일) 다녀오기로 했습니다. 장소는 은빈이 출석하는 포천 섬기는교회에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6. 923 기후정의행진 논의 (핀풀)

923 기후정의행진 조직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핀풀님이 현재 상황과 추이를 공유해주셨습니다. 긴급행동이 조직적으로, 또 전략적으로 어떻게 923 시즌을 맞이하면 좋을지 논의했습니다. 923을 통해 긴급행동 내부 중심으로 형성해 온 의제와 언어, 주체들을 정치적으로 드러내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8/30 멤버 대상 923 작당모임>을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7. 하은 노트북 구입 지원을 위한 자금 마련 (은빈, 핀풀)

4기 운영위원 당선 후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하은님의 업무 역량 향상을 위해 노트북이 필요해지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스마트폰으로 실무 작업) 노트북 구입 시 조직 차원의 지원이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모여 자금 마련에 대해 고민해 보기로 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운영위원들의 물질적 토대와 필요에대해 앞으로도 토의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혹시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시거나 제안사항이 있으시다면 말씀해 주세요!


8.  8/26 멤버십 전환기간 활동멤버 공원 모임 제안 (은빈)

기존에 예정되어 있던 8/26 정회원모임 일정이 취소됨에 따라 대체 모임이 제안되었습니다. 잦은 내부 스케줄의 피로감 우려와 운영위원들의 실무역량과 시간 확보를 위해 대체 모임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길핀풀
2023-07-03
조회 62

회의: 청년기후긴급행동 제54차 운영위원회 회의

일시: 2023. 6. 27. (화요일) 19:30

참석: 해, 은빈, 채원, 나경, 현지, 핀풀

작성: 핀풀

내용:

0. 간단한 회의 분위기

3기 운영위의 마지막 회의였습니다. 수고하신 3기 운영위에 감사함을 전합니다!!


<보고 안건>

1. 은빈 [보고/논의] 대표 대외관계 및 활동 공유 

십시일반 기본소득 자우님과 미팅 예정이라고 합니다. 십시일반 기본소득운 활동가들에게 여러분이서 소정의 금액을 모아 매월 50만원의 활동비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라고 합니다. 핀풀, 현지가 만남을 가질 예정입니다.

 7월 10일에는 예수살기 세미나 강의가 있다고 합니다.

대표체제에 대해서도 다뤘습니다. 은빈이 조직적인 요구에 따라소 대표를 하거나,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힌 상황에서, 대표는 어떤자리인지, 대표가 필요한지, 누가 대표가 되어야 하는지 다뤘습니다. 앞으로 함께 고민해나가기로 했습니다!


2. 채원 [보고] 운영체계 공론장(수) 결과 공유

운영체계 공론장이 저번주 수요일에 진행됐습니다. 자신이 그리는 긴급행동의 상과 현재의 상태에 대한 각자의 고민을 나눴습니다. 원래 이번주 목요일에 2차 공론장을 진행하려고 했지만, 참여율이 낮아서 다음에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운영체계 공론장: https://www.notion.so/ycea/1faa27612d8b4108bb6ee6e42cf8e4e9?pvs=4

2차 공론장 준비모임: https://www.notion.so/ycea/2-1387d133611b4c7dbead178621f3612e?pvs=4


3. 은빈 [보고] 6.26 공가 공론장

긴급행동의 물질적 기반에 대해서 고민하는 공가 공론장이 진행됐습니다. 설문조사를 통해 멤버들의 의견을 받았고 앞으로의 공가에 대한 아이디어들을 공유 했습니다. 한번으로 끝나기 어려웠던 관계로 후속 공론장이 진행되고, 공가 내규와 공가에 대한 아이디어를 더 나눠보기로 결의했습니다!

공가 공론장: https://www.notion.so/ycea/2023-06-26-f44971b898854ba09d355835d7633353?pvs=4


4. 나경 [보고] 단체 변경 실무 현황 

단체 변경에 대한 실무를 나경, 래영님이 진행 중이십니다!


5. 현지 [보고] (가)반성폭력 기구 1차 모임

반성폭력 기구가 현지, 하은, 윤주, 인환으로 출범했습니다!! 1차모임을 가졌다고 하는데요. 앞으로 피해자 회복 지원과 가해자 교육, 활동 아카이브를 해나간다고 하고, 기구 초기에는 규정과 대책위 평가, 단체 구성원 역량 강화를 위한 활동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6. 현지 [보고] 페미니스트 기후정의 네트워크 워크숍

페미니스트 기후정의 네트워크 워크숍이 4주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긴급행동은 4주차에 발제를 진행했습니다. 앞으로 단체 내에서 젠더정의에 대한 논의가 더 활발히 진행된다면 좋겠습니다!

발제자료: https://www.notion.so/ycea/54-526586fb9f914f2ab3ccd099329916ad?pvs=4#17fe2f493f9f4cdeb2cf357863af0dd


7. 나경 [보고] 7/1 퀴퍼 일정

7월 1일에 퀴퍼에 몸소모임 주도로 참여했습니다. 노프라이드에도 참여한 멤버가 있었습니다. 앞으로 단체 내에서 퀴어에 대한 논의도 진행해 나가면 좋겠습니다.


8. 은빈 [보고] 6/24 민사 승소 축하연 및 투쟁기금 전달식

민사 승소 축하연이 을지 오비베어에서 진행 되었습니다. 민사재판에 연대모금 받은 것을 을지오비베어에 전달 했습니다. 앞으로도 빼앗기고 쫓겨나는 존재들의 저항과 투쟁에 함께 연대해나가면 좋겠습니다.


<논의 안건>

1. 채원 [논의] 2차 운영체계 공론장 진행 관련 사항 공유

2차 운영 체계 공론장에 대한 운영위 차원의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2. 채원 [논의] 공가 밥상회 진행안

공가 밥상회가 “비건으로 여름 나기”라는 주제로 진행됩니다. 지금까지 공가에 와보지 못했고 활동에 개입되지 못했던 멤버들 위주로 진행 된다고 합니다. 준비팀에는 현진, 채원, 인환님이 참여하고 계십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3. 핀풀 [논의] 김공룡 야학 재추진

김공룡 야학을 재추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단체 내부에서 공부에 대한 욕구를 가진 멤버들이 존재하고, 각자의 감각으로 부터 출발하는 공동의 언어와 사회적 담론의 필요성으로 부터 출발했습니다. 우선 해, 현지, 핀풀, 시봉, 상준으로 구성된 준비팀에서 기획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4. 나경 [논의] <이번주 일정은?> 시작 

하루에도 여러개 올라오는 공지에 일정을 놓치기가 쉬운데요. 그런 멤버들을 위해서 한주의 일정을 공지하는 <이번주 일정은?>을 나경의 주도로 시작 하려고 합니다. 일정 꼼꼼히 확인 해주시고 많은 참여 바랍니다!


<비상행동 안건>

1. 핀풀 [보고] 비상행동 임시 운영위 회의

비상행동의 임시 운영위 회의가 이뤄졌습니다. 기후정의동맹과 923 기후정의행동 조직웨 출범을 공동 제안하기로 결정했고, 923 준비와 그 이후를 보는 풀뿌리 생태정치를 위한 <기후정치를 만드는 전환의 주체: 전국 활동가마당>을 진행합니다. 앞으로 비상행동에서의 조직적인 운동을 만들기 위해서 멤버들이 개입할 수 있는 자리를 많들어 나가겠습니다!


2. 핀풀 [보고] 비상행동 TF팀 모집 결과

비상행동 TF팀이 모집 되었습니다. 앞으로 정회원-뿌리모임 차원에서의 비상행동 참여를 확대해 나가고자 합니다. 비상행동과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다면 홈페이지 댓글이나 운영위원에게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3. 현지 [논의] 시민커뮤니케이션 팀 2차 회의

긴급행동과 문화연대로 구성된 시민커뮤니케이션 팀 2차 회의가 진행됐습니다. 긴급행동에서는 현지, 시봉이 참여 했습니다. 전국 활동가 마당에서 여는마당과 소그룹 토의를 커뮤팀에서 진행하기로 했고, 만반잘부를 모티브로 한 시민조직화 프로그램을 기획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젠더정의 의제에 대해서 꺼내는 방식은 더 고민해 나가기로 했고, 9월 행동등 대규모 집회 액션 기획에 대한 내용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멤버들이 개입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끝-

프로필 이미지
길핀풀
2023-06-22
조회 29

회의: 청년기후긴급행동 제53차 운영위원회 회의

일시: 2023. 6. 20. (화요일) 19:30

참석: 핀풀, 민선, 은빈, 주석, 해, 나경, 현지, 채원, 하은

작성: 핀풀

내용:

0. 간단한 회의 분위기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운영위원이 함께 했습니다! 많은 측면에서 전환의 시기를 맞고 있는데, 이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중간에 하은님이 공가 공론장 관련해서 참석하셨습니다. 전환의 시기에 함께 지혜를 모아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보고 안건>

1. 은빈 [보고] 대표 대외관계 및 활동 공유

은빈은 기후위기비상행동 공운장 활동을 열심히 했습니다. 9월 기후정의행동이 비상행동과 기후정의동맹의 만남을 통해서 9월 23일에 개최되기로 했다고 하고, 조직위가 곧 출범한다고 합니다. 7월 12일에 조직위 첫 회의가 있다고 합니다. 재판 대응과 관련해서 형사 재판 에대한 지구 법학자 의견서 발표와 법조계 연대성명을 제출한다고 합니다. 60플러스 기후행동이 무죄 촉구 탄원서 제출을 검투중이라고 합니다. 래영님이 속해 있는 ESC에도 탄원서를 제안드리려고 한답니다. 민사 재판과 관련해서 녹색연합에서 주최하는 기업의 그린워싱 사례와 문제점 세미나에 참관한다고 합니다. 김진열 감독님의 다큐가 마무리 단계이고 인터뷰 촬영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2. [보고] 7월 밥상회 실무회의 

7월 밥상회가 7월 5일에 진행된다고 합니다. 7월 밥상회 이후에는 운동적 의미로 밥상회를 확장하기 위한 모임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3. 채원 [보고] <나의 긴급행동> 공론장

나의 긴급행동 공론장이 진행됐습니다. 운동을 하고 싶은지, 긴급행동에서 운동 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논의는 2가지의 큰 주제로 나왔는데요. 긴급행동에서 어떻게 먹고 살 수 있을지, 물질적 기반에 대한 내용, 주체성을 발휘하기 어렵게 만드는 문화와 체계에 대한 내용이 다뤄졌습니다. 물질적 기반에 대한 내용은 추후 공가 공론장과 녹색 일자리 공론장에서 다뤄질 수 있을 것 같고, 운영체계와 문화에 대한 부분은 운영체계 공론장과 그 밖에 후속 공론장에서 다뤄질 예정입니다. 4기 선거를 앞두고 중요한 변환점이 있는데요 멤버들의 많은 참여와 개입을 요청드립니다.

공론장 회의록: https://www.notion.so/b3a7573e32d44b6cb52e4dfd394a3a64


4. 핀풀 [보고] 제6차 뿌장회의 

제 6차 뿌장회의가 진행됐습니다. 뿌리모임 현황을 공유하고 공가 공론장, 나의 긴급행동 공론장에 대한 공유를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뿌리모임 체계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어떻게 조직을 뿌리모임, 즉 정회원 중심으로 이어지고, 뿌리모임 별로 주체성과 역할을 갖고 운동을 해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단체 내의 커다란 전환과 맞닿아 있는데요. 각 뿌리모임에서 논의 후 다음 뿌장 회의체에서 다루고, 4기 선거에 반영될 수 있게 하도록 의결했습니다. 

6차 뿌장 회의체 회의록: https://www.notion.so/6-f70dd2a46ac54d05867e28f66ebdee2b


5. 핀풀 [보고] 제10차 정견모임

제 10차 정견모임이 진행됐습니다. 라틴 아메리카 생태적 전환에 대한 논문에 대한 발제를 해, 호호가 진행했고 이에 대한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제대로 된 토론이 이뤄진 것 같지는 않아서 다음주에는 핀풀 시봉이 발제문을 미리 올려서 토론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제 10차 정견모임 회의록: https://www.notion.so/ycea/10-15039c5b4a974b089c8f8d299ecc1e75?pvs=4


6. 민선 [보고] 해방글방 1회차 진행 

해방글방 1회차가 끝났습니다. 지구해방의날 후속 작업으로 "잊고 있던, 외면했던 나에 대하여"라는 글감으로 글을 썼고, 함께 나누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서로의 글과 글 속의 경험에서 공감하고 연결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해방감을 느낄 수 있었다고 합니다. 남은 회차의 글방을 진행하면서 우리의 공동의 감각과 언어를 만들어내고 운동의 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논의 안건>

1. 핀풀 [논의] 비상행동 소통체계에 대한 논의 

비상행동에서의 운동을 해나감에 있어서, 긴급행동의 내부의 소통체계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긴급행동이 비상행동이라는 정치적 장에서 운동을 펼쳐나가기로 결의한만큼 어떻게 하면 조직적 차원에서 비상행동 체제, 뻐꾸기 체제로 전환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논의 테이블 뻐꾸기의 구성에 대해서, 외부활동에 대한 내부 소통체계에 대해서 논의했습니다. TF팀 모집기간은 연장하기로 했고, 운살회의와 뿌장회의체, 공론장에서 비상행동 체제로의 전환에 대해서 운을 띄우고, 단계별 변화를 만들어가기로 했습니다. 논의 테이블 "뻐꾸기"의 구성과 관련해서는 한번 더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비상행동에서 진행하는 활동과 관련해서 내부 소통체계로 텔방에 뻐꾸기 봇을 만들고 공유를 하는 형식으로 일단은 진행하고, 7월 이후로는 홈페이지를 통해서 논의의 장을 만들어나가려고 합니다. 


2. 나경 [논의] 7월 새멤버맞이 준비 담당자 정리

7월 새멤버 맞이 준비 담당자를 정했고, 채원 핀풀이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3. 주석 [논의] 운영위원회·전체모임·뿌장회의 안건 제안 경로 신설

운영위원회, 전체모임, 뿌장회의체에 안건을 제안하고 멤버들이 참여할 수 있게하는 경로를 신설하자는 제안을 주석이 했습니다. 지금도 소영처럼 의지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참여가 가능하지만, 정식적인 조건으로 만들어서 안건을 진행하게 하자는 의견이었습니다. 이에 대해서 모든 안건을 책임감 없이 상정하는 것이 아니라, 뿌리모임별로 안건에 대한 검토를 거치고 운영위로 전달되는 방식의 책임감 있는 소통구조를 만들자는 의견이 나왔고, 의결 되었습니다. 구체적인 방식은 뿌장회의체에 위임하기로 했습니다. 


4. 채원 [논의] 운영체계 공론장 진행 진행안

4기 운영위 선거를 앞두고 운영 체계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고, (현시점6/21밤) 6월 21일에 공론장이 진행됐습니다. 각자가 바라보는 긴급행동의 상에 대해서 나눴고 소영과 주석이 기조발제를 진행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자 현상황과 운영체계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어떤 운영체계가 필요할지까지 다루려고 했지만 시간이 부족해서, 6월 29일 후속 공론장에서 다루기로 했습니다. 회의록 한번씩 읽어주시고 많은 참여바랍니다!

운영체계 공론장 회의록: https://www.notion.so/ycea/1faa27612d8b4108bb6ee6e42cf8e4e9#b3055216ad2f4fb885fe61339222cf1c


5. 채원 [논의] 공가 밥상회 기획안 

채원님의 주도로 공가 긴급행동 내부 밥상회가 열리게 되었습니다. 채원, 현진, 인환이 준비팀에 참여한다고 합니다. 긴급행동에 쉽게 엮이지 못했던 분들을 초대하고 서로 알아가기도 하고 함께 밥을 먹으며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방향을 맞춰나가는 내부 조직화를 하기 위해서 진행합니다. 준비팀에서 초대한다고 하니, 혹시나 참석하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채원에게 귀뜸해주세요!


6. 하은빈 [논의] 공가 공론장 사전 설문조사

공가 공론장이 6월 26일에 진행됩니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운영위에서 의견을 받았습니다. 세세한 규칙을 정하는 것 보다는 공가가 긴급행동 멤버들에게 어떤 공간인지, 긴급행동 멤버들의 현실적인 물질적 필요에 대해서 나누는 자리가 됐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긴급행동 운동의 거점을 만들어갈 공가 공론장에 활동멤버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7. 은빈 [논의] 6.24 승소 축하연 @을지OB베어

민사 재판 승소 축하연이 6월 24일 을지 오비베어에서 열립니다. 두산의 항소 규탄 연대 모금의 전액을 을지 오비 베어의 투쟁 기금으로 전달하고 연대하기로 했습니다. 우리의 승리를 축하하며 불의에 맞서 싸우는 이들과 연대하는 자리에 활동 벰버들의 많은 참석바랍니다. 참석 못한다면 주변에 많이들 공유해주세요.

초대글:https://www.instagram.com/p/CtvDwXrpPqV/


8. 민선 [논의] 아픈 몸들의 난장판 기획안

6월 30일 금요일 저녁 7시에 아픈 몸들의 기후운동 오프라인 모임 아픈 몸들의 난장판이 진행된다고 합니다. 한달을 돌아보고 서로의 기록을 곱씹으며 아픈 몸에 대한 감각을 확장하려고 합니다. 와구와구 수다떨고 난장판을 벌인다고 하는 많은 참여 바랍니다. 


9. 주석 [논의] 4기 운영위원회 선거 공지

4기 운영위 선거가 6월 26일 입후보 신청을 시작으로 진행됩니다. 공지 올라오면 확인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선거를 통해서 긴급행동의 방향과 여러 것들을 함께 제시하고 만들어나갈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길핀풀
2023-06-15
조회 39

회의: 청년기후긴급행동 제52차 운영위원회 회의

일시: 2023. 6. 13. (화요일) 19:30

참석: 채원 민선 나경 현지 은빈 핀풀 해 주석 소영

작성: 핀풀

내용:

0. 간단한 회의 분위기

소영이 “나의 긴급행동 공론장”에 참여했습니다. 해는 몽골을 잔뜩 머금고 돌아왔습니다. 민선은 간만에 회의 시작 부터 함께 할 수 있었습니다. 채원은 시험 준비로 중간에 나가봤습니다. 중간에 운영위 선거 일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면서 회의가 길어져서 1시에 끝났습니다.🤩❤️‍🔥


<보고 안건>

1. 은빈 [보고] 대표 대외관계 및 활동 공유

은빈은 6월 8일 비상행동 기획단 회의에 참여했고, 6월 9일에는 서울에 방문한 대만 활동가와의 만남을 가졌습니다. 6월 10일에는 스탑 에코사이드 간담회에 참여했습니다. 6월 11일에는 녹색당 생명평화 마당에 다녀왔습니다. 롯데를 대상으로 직접행동을 진행한 핫핑크 돌핀스가 소송에 걸렸고 은빈이 통화로 자문을 드렸다고 합니다. 


2. 민선은빈주석핀풀 [보고] 기후위기비상행동 담당 TF '뻐꾸기'

6월 10일 비상행동 논의 테이블 뻐꾸기가 권우현 공동운영위원장과 함께 민선 은빈 주석 핀풀이 만나서 진행됐습니다. 비상행동의 역사와 지역의 갈등, 총선 대중 조직 전략, 우현과 긴급행동의 관계에 대해서 다뤘습니다. 앞으로 비상행동에서 긴급행동과 함께 할만한 분들을 모셔서 함께 이야기 나누는 자리를 만들어가려고 합니다. 뻐꾸기 팀의 구성과 소통체계와 관련해서는 다음주 운영위 회의에서 다루기로 했습니다. 


3. 주석 [보고] 우.새.뜨 시즌2 첫 회의

우새뜨 시즌 2 첫 회의가 유튜브 라이브로 진행됐습니다. 이름을 계절별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이번 여름 주제는 우리의 여름은 두렵다 '우.여.두' 라고 합니다. 우.여.두도 많은 청취와 관심 바랍니다! 진행해주시는 현빈, 호호, 주석에게도 감사함을 전합니다.


4. 은빈주석 [보고] 7월 밥상회 섭외 현황

7월 밥상회가 7월 5일 수요일에 열립니다. 포천 이주노동자센터에서 핀풀과 은빈이 만난 아지트도 참여하고, 전 운영위원을 비롯해서, 긴급행동의 운동 친구들을 초대했습니다. 기후에 관해서 다룬다고 하니 현장의 분위기와 내용에 대해서 다녀오신 분들이 잘 전달 하도록 하겠습니다. 


5. 현지 [보고] 반성폭력 기구 수립 절차

반성폭력 기구 팀원이 모집되어, 이번 전체모임에 정식으로 출범하고자 합니다. 기구에는 하은, 윤주, 현지가 참여했습니다. 감사함을 전합니다.


6. 민선 [보고] 해방 글방 신청 현황

6월 19일 부터 격주로 진행되는 자기해방 선언 후속 작업 <해방글방>에 16명의 멤버가 신청했습니다. 아직 신청 못하신 분들도 열려 있으니, 공지방에 투표해주세요!!!


7. 민선 [보고] 아픈 몸들의 기후운동 진행 현황

아픈 몸들의 기후운동에 16명의 인원이 가입했습니다. 하루 1~2개의 기록만 올라오고 있는 상황입니다.6월 30일 금요일 저녁에는 오프라인 모임 <아픈 몸들의 난장판> 기획 되어 있습니다. 현재 병원에 입원 해 있는 청연과 물결의 '병원에서 궁금해하지 않는 내몸'에 대해서 기록해주기를 제안하기로도 했습니다. 


8. 현지 [보고] 페미니스트 기후정의 네트워크

페미니스트 기후정의 네트워크 위크숍이 3주차를 맞습니다. 워크숍 이후에는 후속모임을 갖고 4주차 긴급행동 발제에 대한 준비를 하고자 합니다. 우리가 경험했던 성폭력 사건이 어떤 의미를 갖고, 어떻게 정치적인 것으로 만들 수 있을지, 어떻게 사회 운동의 운동 방식을 바꿔낼 수 있을지 등에 대해서 준비하려 합니다. 참여 못하시는 분들도 의견 있으시면 전체방이나 현지를 통해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논의 안건>

1. 주석 [논의] 외연확짱 공개 공론장 “성준이가 들려주는 분단 이야기”

성준이 자신의 해오던 운동인 분단 문제에 대해서 긴급행동에서 발화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외연확짱 멤버들도 성준과 함께 분단과 평화 문제를 가지고 어떻게 긴급행동과 연결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7월 19일에 "성준이가 들려주는 분단 이야기" 공론장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외연확짱 내부의 일련의 과정들도 이 자리에서 나누고자 하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2. 나경 [논의] 단체 변경 실무 

단체 대표자 변경과 법인으로 보는 단체 등록을 위한 실무를 열심히 진행중입니다. 법인과 법인으로 보는 단체는 다르다고 합니다.


3. 현지 [논의] 성폭력 사건 - 가해자 추가 조치 

단체 내 성폭력은 '숙식과 모임이 이뤄지는 아지트'인 공가에서 이뤄졌고, 이는 공가의 장소성을 훼손한 것입니다. 공가의 장소성을 회복하는 과정에서 가해자가 책임을 질 수 있게 하는 활동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서는 의견이 명확해지지 않아서 현지가 다른 사례를 참고하여 구체화하고, 은빈과 소통해서 다음 회의에서 다시 논의 하고자 합니다. 공동체적 회복 절차로서 전체모임에서 숙의 하고 결정하기로 의결 했습니다. 


4. 주석 [논의] 어린과 운살의 관계 정립 관련 논의 

저번 회의 공지에서 다뤘듯이 살림꾼 어린과 운살의 관계에 대해서 은빈이 추가로 통화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5. 주석 [논의] 줌 계정 구입 

구글 미트가 유료화가 되어서 1시간 제한이 걸립니다(이제 익숙하다...). 그래서 긴급행동 계정으로 줌을 구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6. 핀풀 [논의] 비상행동 커뮤팀 만남 

문화연대의 이현, 영은과 긴급행동의 핀풀, 현지가 비상행동 커뮤니티 팀 1차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서로 준비 해 온 방향에 대해 논의 했고, 문화연대에서는 대중집회 퍼포먼스 개발 워크숍과 대시민 프로그램 해커톤, 기후위기를 입는다를 진행하고자 하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긴급행동은 시민 조직화와 젠더정의에 대한 상을 전달했습니다. 젠더정의를 커뮤니케이션에 녹이는 것이 어려울 것 같기는 하지만 부딪혀 보기로 결정했습니다. 

다음주 월요일 6월 18일까지 팀 모집이 진행되니, 농생먹축 TF팀과 커뮤팀에 많은 참여 바랍니다. 참여는 민선, 핀풀을 통해 신청해주세요!!


7. 은빈주석 [논의] 운살 3기 임기 관련 논의

운살 3기 임기에 대한 논의를 110분 동안 진행했습니다. 3기의 임기는 6월 말이 종료 되는데요. 긴급행동의 일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아무일 없는 것처럼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3기를 돌아보고 어떻게 더 나은 단체의 체계를 갖출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와 분위기를 만들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일정과 선관위 구성 등 선거에 대한 공지는 이번 전체회의와 다음주에 공지를 통해서 나가고자합니다. 

선거를 단순히 해야해서 하는 것을 넘어서 긴급행동의 운동과 운영구조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 장으로 만들기 위해서 활동 멤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8. 은빈 [논의] 두산 항소 취하에 따른 종결 조치

두산이 항소를 취하했습니다!!! 아직 형사 재판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2년 동안 진행해 온 기후 불복종 재판에서 승소를 거두게 되었습니다. 긴급행동의 중요한 한 장면을 장식한 재판이 끝났고, 앞으로 우리는 어떤 또 다른 작당을 버릴지 함께 고민하면 좋겠습니다. 승소 소식에 대한 보도자료와 홈페이지 연대성명 게시 SNS 공유등을 은빈, 주석, 현지, 나경이 역할을 맡아 진행 해주었습니다. 이번 연대 성명에는 236명의 사람들이 지지를 보내왔습니다. 이 힘을 받아 앞으로 더 활개치고 다닐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9. 채원 [논의] [나의 긴급행동 공론장] 논의

지난주까지 운영위 공론장으로 논의 되었던 나의 긴급행동 공론장이 오늘 6월 17일 길담에서 열립니다. 아직 참석 투표를 안하신 분들은 투표 참여 바랍니다!!


-끝-

프로필 이미지
길핀풀
2023-06-10
조회 36

회의: 청년기후긴급행동 제51차 운영위원회 회의

일시: 2023. 6. 7. (수요일) 19:30

참석: 채원 은빈 주석 나경 민선 핀풀 하은 어린 소영

작성: 핀풀

내용:

0. 간단한 회의 분위기

화요일에 포천 캠프파이어를 다녀와서 수요일에 운영위 회의가 진행 됐습니다. 현지는 참여를 못했고, 나경 민선은 늦참, 채원은 중간에 참여했다 나갔습니다. 오늘은 어김없이 운영위 공론장에 대해서 다뤘는데, 소영과 어린, 하은이 참여 했습니다. 하은이 공가 공론장 안건에도 참여했습니다!! 회의 진행 중에 구글 미트 10분 남았다는 표시가 떠서 알아보니 구글 미트가 유료화가 됐더라고요. 이런 플랫폼 자본!! 여튼 방을 계속 새로 파면서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보고>

1. 은빈 [보고] 대외관계 및 활동 공유

은빈은 6월 7일 정의당 재창당 생태전환 토론회를 갔다 왔습니다. 6월 8일에는 비상행동 기획단 회의와 기후정의동맹 미팅이 있었습니다! 6월 10일에는 에코사이드 간담회에 윤석, 소영과 함께 참석한다고 합니다. 6월 11일에는 1박 2일로 녹색당 생명평화 대화마당에 초대 받았다고 합니다. 


2. 주석 [보고] 형사재판 읽기모임

형사재판 읽기 모임이 진행됐습니다. 19명이 참여 했습니다. 형사재판의 경과에 판결에 대한 해석과 CICC에 대한 발제를 듣고 함께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못오신분들은 자료를 확인해주세요!!

읽기 모임 자료: https://www.notion.so/ycea/405881e727f4403b9151c1e1aed0d258


3. 주석 [보고] 7월 밥상회 기획회의

7월 밥상회가 7월 5일 진행된다고 합니다. 기후와 관련된 주제로 이야기를 나눈다고 하고, 여름인 만큼 동치미 국수와 제철과일을 먹는다고 합니다. 7월 이후부터는 밥상회를 새로운 사회운동의 공간으로 발전 시키려 합니다. 


4. 민선은빈주석핀풀 [보고/논의] 기후위기비상행동 공동운영위원장 사전 논의테이블

지난 회차 운영위회의에서 긴급행동이 비상행동에 어떻게 참여할지, 전략과 체계에 대해서 다루기 위한 사전 논의 테이블을 만들기로 했고, 민선 은빈 주석 핀풀이 안건을 준비해 왔습니다. 우선 비상행동을 파악하고 이해하기 위한 권우현 공운장과의 만남을 갖기로 했고요. 민중외교와 생태정부, 젠더정의를 조직적 목표로 잡았고, 비상행동에 참여하는 멤버로 이루어진 논의 테이블과 농축업 팀, 커뮤니케이션 팀을 긴급행동 내에 신설하여 활동을 해나가고자 합니다. 논의 테이블의 구성과 소통 체계와 관련해서는 이견이 있어서 다음 회의에서 더 다루기로 했습니다. 또 대표 없어도 되는 조직 만들기와 운영위 회의에 비상행동 안건 시간을 만들어서 팀들이 참여해서 안건을 발의하고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그 밖에 생태정부에 대해서 진하게 다루는 워크숍과 녹색일자리를 재추진하기로 했습니다. Tf 팀 모집글이 조만간 올라갈 예정이니 많은 참여바랍니다!!


5. 현지 [보고] 제5차 뿌장회의

제 5차 뿌장 회의가 진행됐습니다. 활동 공유와 반성폭력 기구 모집에 대해서 다뤘습니다. 


6. 나경 [보고] 살림단 - 단체 변경 절차 현황

단체 대표자 변경 및 법인으로 보는 단체 등록을 위한 실무를 나경님이 맡아서 진행해주고 계십니다. 래영님도 함께하고 있습니다. 🙌


<논의>

1. 소영 [논의] 운영위 공론장

6월 17일 열리는 운영위 공론장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4기 운영위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단체가 마주한 질문들, 운동에 대한 상부터, 조직의 문화 등등 다양한 쟁점을 다루고자 하는 중요한 자리입니다. 전체모임의 한 세션으로 운영위 공론장에 대해서 다루고자 합니다. 너무 많은 의견들이 오가서 정리가 어려운데요. 소영 채원 핀풀 성준을 중심으로 공론장을 준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아래 지금까지 나온 이야기들에 대한 참고를 해보면 좋겠습니다!!

50차 운영위회의 까지 운영위 공론장 쟁점 정리: https://www.notion.so/ycea/5-30-662d0bc659a14b36952086805df7d66b?pvs=4


2. 하은빈(하은,은빈) [논의] 공가 공론장 기획안

6월 26일 월요일 19시 30분에 공가와 온라인을 통한 공가 공론장이 열립니다. 공가에 대한 의미를 되돌아보고 내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공가가 긴급행동 긴급행동의 물질적 기반으로서 앞으로를 내다보는 상상도 진행한다고 합니다. 아래 설문조사 참여와 함께 당일에도 많은 참여 바랍니다!!

공가 공론장 설문조사: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PINntphfEmGSR1D9bzHanfUhnACbr76RewWqWy-DVQQTNqQ/viewform


3. 주석 [논의] 김공룡 녹색일자리 공론장

미뤄두었던 김공룡 녹색 일자리 공론장을 다시 한번 띄우려고 합니다. 7월 정도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공가 공론장에 이어 긴급행동의 물질적 기반에 대해서 고민하는 자리가 될듯 하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4. 은빈  [논의] 7.1 빅웨이브 영화 토크콘서트 섭외

7월 1일 빅웨이브에서 미국 기후정치를 다룬 영화 토크 콘서트 섭외가 왔지만 참석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5. 은빈  [논의] 7.21-22 소시오크라시 워크샵 참여

최근 단체 내에서 소통과정과 함께 일하는 문화에 대한 질문들이 나오고 있는데, 관련해서 소시오크라시 워크샵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1박 2일을 사용해서, 외부의 것을 배워서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우리 안에서 서로를 더 마주하고 대화와 실천을 위해서 시간을 쓰기로 결정했습니다. 함께 마주하고 풀어나가면 좋겠습니다. 


6. [논의] 어린 살림꾼, 운살 합류에 대해서

어린이 살림꾼이 되었고 운살에 합류하는 것에 대한 제안을 했습니다. 어린이 현재는 시간적인 여력이나 지금 상황에서 책임감을 가지고 긴급행동에 참여하기 어렵다고 했습니다. 나경과 함께 재정에 관한 실무까지 본인의 상황에서 가능하다고 했고, 당분간 운살 합류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